본문 바로가기
남도여행KoreaTraveller

구례 산수유마을과 지리산 묘봉치에 들다, 2022년 3월 21일

by 권또또 2022. 3. 22.
728x90
반응형
SMALL

산수유마을 돌담길

 

2022년 3월 21일. 구례 산수유 마을과 지리산 묘봉치에 들었다.

전남 목포에서 전남 구례로 향하는 그 길목은 차로 2시간 10분 정도 걸렸다.

산은 오르는 게 아니라 산은 들어갔다 나오는 것이다.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산을 바라보고 경외하여 산과 하나가 되기 위해 호흡하는 것이다.

그만큼 산 앞에서는 겸손한 마음으로 들고 나는 것이다.

 

3월 중턱에 다다른 그날, 구례 산수유마을에 들어갔다.

암태에 사는 셋째 형과 함께 그날 그 마을을 둘러본 것이다.

산수유자체가 울긋불긋하지 않다.

매화나 벚꽃처럼 화려하지도 않다.

화려하지 않아도 은은함 그 자체를 지닌 게 산수유다.

그래서 더 사랑을 받고 있는지 모르겠다.

 

산수유 마을 위로 묘봉치로 가는 길목과 만복대로 향하는 길목이 있었다.

둘 사이에 어디로 갈까 고심했다.

그 순간 사람들이 묘봉치 쪽에서 내려오고 있었다.

그 길로 가면 사람들이 많을까 싶었다.

 

그런데 아차, 그게 아니었다.

그 분들은 등산객이 아니었다.

그 분들은 바로 위의 산수유를 둘러보고 사진을 찍고 내려온 분들이었다.

그만큼 묘봉치로 향하는 길목에서 만난 사람은 딱 한 분이었다.

묘치봉에서 바라본 산수유마을

 

그러니 어찌하랴!

형과 단 둘이 묘봉치로 향하는 길밖에.

그 길은 완만했다.

지리산이 깊지만 그렇게 험악하거나 가파르지 않았다.

물론 다른 쪽 방향은 뱀사골이나 노고단이나 천왕봉쪽은 어떤지 모르겠다.

아무튼 산수유마을에서 묘봉치로 향하는 길목은 완만하고 부드러웠다.

묘봉치에서 바라본 노고단, 아직도 눈이 가득 쌓여 있다

 

지난 달 서울에서 내려온 친구 부부와 함께 해남 두륜산에 들어간 적이 있다.

그때 그곳의 푯말이 그런 설명이 붙어 있었다.

월출산은 남성산이고 두륜산은 여성산이라고.

그만큼 월출산은 험악하고 두륜산은 부드럽게 오를 수 있다는 뜻이었다.

하지만 내가 두 산을 경험한 바로는 전혀 달랐다.

월출산도 험악했고 두륜산도 험악했다.

월출산은 내려올때까지 다리가 후덜덜 했는데, 두륜산은 오히려 다음날 종아리에 알이 박힐 정도였다.

아직도 산에 눈이 쌓여 있다

 

그런데 이곳 지리산은 어땠을까?

한 곳 방향으로 들어가서 그런지 잘 모르지만, 지리산은 포근했다.

산은 깊었지만 오르막길은 가파르지 않았다.

몸이 아픈 셋째 형도 지리산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얼마나 감사했는지 모른다.

정확히 따져본다면 산수유마을에서 묘봉치 정상까지 들어가는 길목은 2시간 정도 걸렸다.

그곳에서 나오는 길목은 3시간 정도 걸렸다.

산에 들어가는 길목에 형은 잘 들어갔지만 나오는 길목은 정말로 힘겨웠다.

그래도 저녁 6시 무렵까지 나올 수 있어서 얼마나 감사했는지 모른다.

728x90
반응형
LIST